링크드인은 단순한 이력서가 아닙니다. 특히 B2B 세일즈, 마케팅, 브랜딩을 고려하고 있다면 ‘프로필 페이지 = 랜딩페이지’라는 관점으로 접근해야 합니다. 오늘은 메텔이 전하는 “누구나 실행할 수 있는 링크드인 활용 팁” 그 첫 번째 이야기, 바로 ‘프로필 구조 설계법’입니다. 메텔에서 메세지 전략 및 고객 전환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는 박도현 VP님의 떠먹여주는 #링크드인강의 를 확인하고 지금 바로 실행해보세요✨
링크드인 프로필은 퍼널 구조로 설계하기

우리가 마케팅에서 사용하는 세일즈 퍼널 구조, 링크드인 프로필에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습니다. 방문자는 먼저 헤드라인을 보고, 소개글을 탐색하고, 관심 콘텐츠를 클릭하고, 마지막으로 DM을 보낼지 결정합니다. 즉, 프로필 구성은 다음과 같은 흐름을 따라야 합니다.
헤드라인 → 소개 → 스페셜 콘텐츠 → CTA
이 흐름 속에서 ‘관심 → 이해 → 신뢰 → 행동’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설계해보세요.
☝🏻 "헤드라인": 고객의 궁금증을 자극하는 한문장!

링크드인에서 누군가 당신을 처음 만났을 때 가장 먼저 보는 문장, 바로 ✨헤드라인✨입니다. 섹션 단순한 “회사명 @직책” 대신, ‘고객의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’으로 나를 정의하세요.
예시1: “해외 고객과 ‘진짜’ 연결이 안 되신다면? 국내 기업을 위한 LinkedIn 기반 B2B 세일즈 솔루션 | VP @maetel”
예시2: 의료기기 제조사의 해외 진출, 시작부터 세일즈까지 돕습니다 | LinkedIn B2B 컨설턴트”
✌🏻 "소개(About)": 당신의 문제해결 능력을 증명하세요.

소개(About)는 자기소개가 아닙니다. ‘왜 이 사람에게 말을 걸어야 하지?’라는 질문에 답하는 세일즈 콘텐츠입니다. 소개 섹션을 통해 고객이 DM을 보낼 수 있도록 실마리를 제공해야 합니다.
메텔이 추천하는 About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:
1️⃣ Background – 내가 어떤 경험을 해왔는지
2️⃣ Why – 이 시장의 문제에 왜 주목했는지
3️⃣ How & Proof – 나는 어떻게 그 문제를 해결해왔는지
4️⃣ Value Prop – 누구에게 어떤 가치를 주는 사람인지
5️⃣ CTA – “궁금하다면 DM 주세요!” 같은 가벼운 유도 문구
Tip; 단순한 스펙 나열이 아니라, 고객과 연결될 수 있는 스토리 중심으로 풀어보세요.
👌🏻 "스페셜": 클릭을 유도하는 스페셜 콘텐츠 배치
링크드인 프로필 중간에는 대표 콘텐츠, 고객 사례, 서비스 소개 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 이 공간은 “이 사람이 어떤 일을 해왔고, 어떤 가치를 줄 수 있는지”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자리입니다.
✔ 대표 브랜딩 콘텐츠
✔ 고객 후기, 사례 PDF
✔ 발표 자료, 외부 링크 등
tip: 클릭을 유도할 수 있는 소재라면 적극적으로 배치해보세요.
마지막 한 줄, CTA는 확실하게!
“관심 있으시면 커피챗 어떠세요?” “언제든지 DM 주세요!” 등 너무 무겁지 않게, 그러나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문장을 마지막에 꼭 넣어주세요.
이 한 줄이 메시지 전환율을 바꿉니다.
링크드인 프로필은 전환의 첫 걸음
잘 만든 링크드인 프로필은 단순한 소개 페이지가 아닙니다. 고객이 “이 사람이면 내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겠어”라고 느끼게 만드는 전환의 첫 걸음입니다. 오늘 이 글을 읽으셨다면, 여러분의 링크드인 프로필도 ‘전환 중심’으로 다시 설계해보세요. 실행은 어렵지 않습니다. 메텔이 알려드리는 프레임워크대로 따라 하기만 하면 됩니다.

📩 링크드인 활용이 막막하다면? 메텔에게 연락 주세요.
메텔은 링크드인 성장과 고객발굴을 함께하며, 각 회사에 맞는 링크드인 전략을 수립을 전달해드립니다. 지금 바로 메텔과 링크드인 해외 마케팅을 함께하세요.
메텔’s Insight